SMALL

사고사례 35

화학사고 사례연구-폐기물 열분해 재생유 생산공정 화재 사고-KOSHA

몇년 전부터 폐비닐이나 폐플라스틱을 chemical recycling차원에서 열분해를 통해 재생유를 만드는 공장이 전국적으로 많이 설치되어 왔지만, 대부분이 영세 중소기업에서 운영 및 열악한 환경에서 운전이 되어 안전이나 환경에 대한 issue사항들이 많이 대두되어 왔고, 크고 작은 사고로 이어지고 있다.​​용어 정의​열분해 재생유고분자 폐기물을 처리하는 방식의 하나로, 플라스틱 등의 폐기물을 열분해함으로써 생성되는 연료유를 말한다.​재생유 열분해공정고분자와 같이 분자량이 높은 물질을 환원성 분위기에서 열을 가함으로써 분자량이 낮은 물질로 분해시켜 회수할 수 있는 공정 과정으로, 열분해를 통한 유화 기술은 반응 온도와 시간, 반응용기, 기기운전방식, 촉매의 사용여부 등의 조건에 따라 달라지는데, 반응 온..

사고사례 2025.05.01

화학사고 사례연구-생산절차 미준수로 인한 반응폭주 사고-KOSHA

사고개요2020년 9월 ○○○사업장의 페놀알킬수지 제조공정에서 반응기에 원료(페놀, p-포름알데히드) 투입 후 반응 개시제(NaOH)를 투입하는 과정에서 이상 반응에 의한 과압으로 파열판 및 후단 열교환기가 파손된 사고이다.폭발로 파손된 열교환기(좌)와 비산된 반응기 커버(우)​사업장 현황○○○사업장은 페놀과 포름알데히드를 합성하여 주물용 점결제를 생산하고 있다. 사고가 발생한 공정은 알카라인계 페놀-포름알데히드 레진을 생산하는 공정이다.제품 생산 흐름도 ​공정설명 ​원료주입 페놀과 포름 알데히드를 반응기로 공급하면 염기성 촉매(NaOH) 존재 하에서 메틸올 페놀 중합체와 물을 형성한다. ​승온 희석열에 주의하며 단계적으로 60 ℃까지 승온한 후 90 ℃까지 승온한다. ​냉각 (사고발생) 경화제와 혼합하..

사고사례 2025.05.01

보일러 연료유 저장탱크 보수작업 중 폭발 사고사례 (KOSHA-MIA-전북-2105)

재해개요2021. 6. 30.(수) 10:33분경 전북 소재 사업장 ○○○의 신축공사 현장에서 공사업체 근로자 2명이 보일러 연료유 (이온정제유) 탱크 보수(용접) 작업 중 보일러 내부 연료유 유증기가 폭발한 사고 임 (사망 2명)​​사고발생 물질, 재해발생원인(추정) 및 재발방지대책사고발생물질(이온정제유)의 물리적 특성(환경부기준)​재해발생원인 - 탱크내부에 잔류하고 있던 인화성액체(이온정제유)를 충분히 제거하지 않아 폭발(연소)위험 분위기를 형성하고 있는 상태에서 용접작업 실시​​재발방지대책 - 탱크 용접 작업시에는 내부 위험물 사전제거 및 세정(세척) 작업 실시, 작업 시작 전 가스농도 측정, 지속적인 환기실시​​과거 유사 사고사례 - 2020.3. ㈜○○○○의 반응동 3층에서 외부 공사업체 소속 ..

사고사례 2025.04.30

분진 화재·폭발 사고 저감 방안 - KOSHA

1. 실리콘 등 가연성 분진 취급사업장 사고발생 현황 ​2차전지는 1차전지와 달리 방전 후에도 재충전하여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경제적인 장점과 납, 수은 등 환경 규제 물질도 포함하지 않는 등 친환경적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미래 산업으로 각광받고 있다. 특히 2차전지의 핵심 구성요소인 양극제와 음극제 중에서 음극제는 기존의 흑연계 음극제보다 에너지 밀도가 더 높아 효율적인 실리콘 음극제(흑연+실리콘)에 대해 지속적으로 개발이 진행되는 등 관련 사업이 확대되는 실정이다. ​또한, 폐태양광 패널이나 반도체 제조 시 배출되는 실리콘 슬러지를 재활용하여 생산하는 실리콘 음극제의 주원료인 실리콘 파우더를 취급하는 사업장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실리콘 음극제 생산 등 관련 사업이 확대됨에 따라 원료로 사..

사고사례 2025.04.13

저장탱크 폭발사고 분석-KOSHA

`22년 3월 경기도 안산시 소재 폐유기용제 저장탱크 상부에서 배관 연결을 위한 용접 작업 중 탱크가 폭발하며 탱크 위에서 작업 중이던 근로자 2명이 사망하였다. 저장탱크에서 화재나 폭발이 발생하면 인명피해와 물적피해가 크다. ​​또한 이러한 사고는 제조업 뿐만 아니라 서비스업, 폐기물처리업 등 많은 장소에서 발생하고 있다. 저장탱크가 다양한 업종에서 사용이 되기 때문에, 사업장이 저장탱크를 보유하고 있다면 작업 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모든 근로자가 인지할 필요가 있다. 최근 발생한 저장탱크 폭발사고의 원인을 분석하고, 동종사고 방지를 위해 사업장에서 준수해야 할 사항에 대해 살펴보았다.​​​탱크 폭발 관련 유사 사고 사례​• 2023년 8월 경기도 화성시 소재 산업폐기물 처리회사 폐수저장탱크 상단에..

사고사례 2025.04.13

폴리에틸렌 반응기 폭발·화재(CCPS) - KOSHA

The slurry process using a loop reactor ​【중대산업사고속보】 제목 : ○○(주) 폴리에틸렌 반응기 폭발·화재 속보번호: CCPS-0307 날짜 : 2003년 10월 기인물 : 폴리에틸렌 재해유형 : 폭발.화재 피해정도 : 사망 1명, 부상 7명    ​1. 재해발생 경위 ​2003년 10월 3일(금) 18:05분경 전남 여수시 ○○(주)의 폴리에틸렌(PE) 3공장에서 반응기 하부의 펌프(P-3215B) 흡입측 여과기(Strainer)를 청소하기 위하여 해체한 상태에서, 차단 밸브가 개방되면서 ​- 단관부위를 통해 헥산 등 가연성물질이 약 4분간 30톤이 누출되면서 증기운 폭발 및 화재가 발생하여 1명이 사망하고 7명이 중경상을 입은 재해임. ​​​2. 조사자 의견 ​■ 당..

사고사례 2025.04.08

배관 파열에 의한 화재폭발 [KOSHA]

제목 : 배관 파열에 의한 화재폭발속보번호: CCPS-9702 날짜 : 1997년 03월 업종 : 원유정제업 기인물 : 정전기 재해유형 : 화재폭발 공정 : 수첨처리공정   1. 사고발생 개요  97. 3. 00 11:30분경 ○○○(주) 윤활기유 제조 수첨처리 공정에서 배관의 엘보우(Elbow)가 마모(Errosion)되어 두께가 얇아짐으로써 고압(195㎏/㎠g)에 견디지 못하고 파열됨으로서 관내부의 수소 및 탄화수소가 누출되면서 정전기에 의해 점화되어 화재가 발생함.   2. 사고발생 공정 가. 제조공정 사고발생 공정은 윤활기유 제조 공정중 고온, 고압의 수첨처리 공정으로서, 윤활기유중 고분자의 Aromatic성분을 고온·고압 촉매하에서 제거하거나 변형시키는 연속공정으로 윤활기유를 생산함.  나. 제..

사고사례 2025.03.27

정기보수중 질식사고 [KOSHA]

목 : 정기보수중 질식사고 속보번호: CCPS-9802 날짜 : 1998년 05월 업종 : 석유화학제품 제조업 기인물 : 드럼 재해유형 : 질식 피해정도 : 사망2명 공정 : 압력용기 내부검사   1. 사고발생 개요  98.5.○○ 14:20분경 ○○화학(주)의 연차보수 작업중, BG 1공장 Steam Drum (102-P) 내부검사를 위해 ○○화학(주) 직원 1명과 압력용기 검사 업체인 한국검정 직원 2명(오민균, 조광중)이 사전 산소농도 측정이나 환기조치 없이 질소로 Purge된 Drum에 입조하여 질식으로 사망한 재해임.   2. 사고발생설비 가. 공정설명 에틸렌을 산화반응시켜 산화에틸렌을 제조하는 공정으로서, 산화 반응열을 이용하여 Steam drum에서 약 13kg/㎠G의 수증기를 생산하고, 산..

사고사례 2025.03.27

중질유 분해공장 폭발사고 [KOSHA]

제목 : 중질유 분해공장 폭발사고 속보번호: 안전 제99-1호 날짜 : 1999년 05월 업종 : 화학제품 제조업 기인물 : 순환오일배관 재해유형 : 폭발 피해정도 : 화상4명 공정 : 중질유 분해    1. 사고개요  1999. 5. ○○ 14:08경 울산시 남구 소재 ○○(주) 중질유 분해공장의 순환오일 배관에서 고압오일이 분출되면서 대형폭발사고가 발생하여 4 명이 화상을 당하고, 약 1,000억원(추정)의 재산손실을 입음.   2. 사고공정 및 기인물  가. 사고 공정 o 사고공정 : 중질유 분해공장 - 중질유(Vacuum Gas Oil)을 수첨 분해반응(hydrocracking)시키어 고부가 가치를 갖는 디젤, 케로신, 납사 등의 경질유를 생산하는 공장임. · 중질유 처리능력 : 30,000바렐/..

사고사례 2025.03.27

크실렌 탱크위에서 시료채취 작업중 폭발 [KOSHA]

제목 : 크실렌 탱크위에서 시료채취 작업중 폭발 업종 : 석유화학 제품제조업 기인물 : 혼합크실렌 피해정도 : 사망 1명 재해유형 : 화재,폭발 날짜 : 1991년 01월    1. 재해발생경위  1991.1.4. 15:17분경 석유화학제품 제조업체의 크실렌 탱크에서 제품분석을 의뢰받은 재해자가 탱크의 상부(Roof)에 올라가 시료채취작업을 시작하였다. 잠시후 "펑" 소리와 함께 탱크상부가 날아가면서 화재가 발생하여 시료채취 작업자가 화상을 입고 추락하여 사망하였으며, 탱크상부는 내부압력에 의해 10m 정도 날아갔다.    2. 특성요인 물적요인(불안전상태)- 제전봉에 산화 피막이 형성- 탱크내부 크실렌의 폭발범위 형성  인적요인(불안전행동)- 급격한 행동으로 인하여 인체와 작업복에 정전기 발생- 제전복..

사고사례 2025.03.27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