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LL

공정안전설계 특강 6

HAZOP Study 강의 개설

HAZOP Study는 지금까지 사업장을 방문하여 컨설팅/용역 형태로 진행되어 왔지만 최근 HAZOP Study를 사업장 자체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역량 강화의 일환으로 특강을 요청하는 업체가 문의를 하여 이번 기회에 그동안 용역을 수행했던 경험 및 knowhow로 강의 교재를 만들었다.​​특히 중대재해 처벌법의 실행으로 그 어느때보다 사업주의 안전에 대한 인식이 강화되고 있으며, 법적 준수에 미흡할 경우 책임을 뭍도록 하는 법률로서 안전관리에 대해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중처법 및 산안법에 언급된 내용은 아래와 같다. 중처법  중처법 시행령​  산안법​ 공정 위험성 평가 기법중 가장 많이 적용하고 있는 것이 HAZOP Study이며, 이에 대해 전반적인 내용을 담아 교재를 작성하였다. 이..

공정 설계 기준 (Process Design Criteria) 과정 개설

P&ID Workshop, PSV 특강에 이어 실질적인 공정 설계를 하기 위한 기준에 대해 강의 과정을 개설하였다. ​​P&ID와 달리 이 과정은 교육 참석 대상이 주로 공정 설계를 담당하는 엔지니어가 되며 강의 구성상 공정 설계 경험이 3~8년차가 가장 적합하지만 이제 막 공정 설계를 시작하거나 10년 이상의 경험을 가진 사람도 remind차원에서 매우 유익한 시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아래는 강의 contents이며 지속적인 update가 진행될 예정이다. ​​*Process Design Basis-Operating and Design Philosophy-Design Pressure-Design Temperature-Process Simulation Tolerance​ *Equipment Desi..

PSV (Pressure Safety Valve) 특강 과정 개설

P&ID 특강에 이어 두번째로 PSV에 대한 과정을 개설하였다. 여러 중소기업을 상대로 컨설팅을 해본 결과, PSV에 대한 내용은 개략적으로 알지만 정확히 이해를 하지 못하고 응용능력이 부족하여 PSM 심사 과정에서 나오는 comment에 대해 대응이 어려웠다고 한다.​​process 자체는 licensor나 혹은 자체 개발한 공정의 경우 R&D의 support를 받아 develop이 가능하지만 safety에 대해서는 licensor로서도 scope에 분명한 한계가 있음에 따라 local regulation를 따라야 하므로 COMPANY 자체적으로 혹은 공정 설계회사나 외부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할 부분이다.​​특히 국가적으로 안전에 대해 계속 강조되고 COMPANY의 top management도 지속..

P&ID Workshop 과정별 세분화

보다 효율적인 P&ID workshop을 위해, 참석자들의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수준별 P&ID workshop을 위해 3종류의 과정으로 세분화하였다.​​​즉, 초보자를 위한 입문 과정인 기본 과정, 그리고 P&ID를 직간접적으로 업무에 활용하면서 체계적이고 이론적인 내용을 배워 P&ID에 좀더 익숙해지는 과정인 표준 과정, 그리고 실무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면서 사업주, licensor, PMC와의 clarification이나 미팅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심화 과정으로 분류를 하였다.​​​주로 기본 과정은 실습 위주로 진행하면서 다양한 equipment 소개를 통해 P&ID에 익숙해지는 과정이며, 표준 과정은 workshop을 통해서 주어진 process descripti..

P&ID Workshop launching

관련 법규​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심사·확인 및 이행상태평가 등에 관한 규정​제48조(공정ㆍ운전에 대한 교육ㆍ훈련) 공정운전자 및 정비작업자가 해당 공정에 대하여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라 교육을 이수하였는지를 심사하여야 한다. 1. 공정상세도면의 이해를 위한 제조공정, 안전운전 지침 및 절차 등에 관한 교육내용의 포함 여부 2. 사업장 안전보건총괄책임자는 공정운전원이 충분한 교육과 훈련을 통하여 공정운전에 관한 지식과 기술 그리고 충분히 안전하게 운전할 능력을 갖추었음을 확인하고 해당 공정운전 자격을 부여하고 있는지 여부 3. 사업장에서 최소한 3년마다 1회 이상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교육 시 마다 해당 공정운전 능력이 충분함을 확인하고 있는지 여부4. 사업장 안전보건총괄책임자는 공정운전원, 정비원 ..

공정안전설계 특강

안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이전과 비교할수 없을 정도로 기대치가 높아지고 있고, 향후에는 안전에 대한 기준이 더욱 엄격해질수 밖에 없다.​​이와 관련 정유 및 석유화학공장에서 다루는 물질이 대부분 유해하고 운전조건도 주로 고온 고압이라 자칫 한번의 사고로 큰 재난이 될수 있어서 그만큼 안전관리가 중요하고, 그 이전에 안전설계가 제대로 반영이 되어야 한다.​​정유, 석유화학, 가스, 폴리머 플랜트 등에서 경험했던 내용을 기준으로 공정안전설계를 위해 알아야 할 핵심 위주로 교재를 만들었고, 주로 법적기준, 작동 원리 및 개념, 실무적용사례 등으로 구성이 되어있으며 향후 공정안전관련 필요한 경우 subject은 계속 추가될 예정이다.​#공정안전설계#통기밸브#긴급통기밸브#화염방지기#긴급차단밸브#가스감지기#누액감..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