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LL

2025/03 27

아민 제조 공정 이해

주로 sweetening공정에 acid gas 제거용으로 사용되는 amine은 EO와 암모니아를 합성하여 만든다.Davy process, UK암모니아와 EO가 물 존재하에 가압상태의 reactive distillation column내에서 반응 (1)을 한 후, crude ethanolamine을 얻는다. 반응은 액상에서 진행하고 온도는 60~150도, 압력은 500~2000psig에서 진행하며 EO에 대한 암모니아 몰비는 5~20이다. 이후 증류탑에서 잔여 물을 제거하고 MEA, DEA, TEA를 분리한다. ​​암모니아와 EO의 비율 그리고 아민의 recycle양에 의해 원하는 product의 조성을 얻을 수 있다. effluent는 separation (2,3) system에서 분리되어 미반응 암모니..

공정설계 2025.03.30

cryogenic service blowdown (Depressurizing)

아래 sketch는 blowdown valve 및 후단에 RO를 설치하여 blowdown valve를 open시 과도한 유량이 흐르지 않으면서 적절한 시간내에 depressurizing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는 고압에서의 용기 파열로 인한 2차 재해를 방지하기 위해 고려하였으며, EDV (Emergency Depressurizing Valve) concept은 API 521에 근거를 두고 있다.​BDV valve와 RO사이에는 최소 600mm를 이격하도록 note처리가 되어 있는데 그 이유는 RO후단에서는 압력이 급격히 떨어져 JT (Joule-Thompson) 효과로 인해 특히 light component에 대해 auto chilling에 의해 영하의 온도로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즉, RO..

공정설계 2025.03.30

PSV Installation 사례

PSV는 적절한 시나리오 선정을 통한 relief load 계산 및 sizing을 수행후 적절한 type을 선택하는 것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이 설치이다. 잘못 설치할 경우 emergency상황에서 과압을 해소하지 못할 수가 있기 때문에 아래의 몇가지 사례를 통해 설계단계에서 설치위치 선정시 주의해야 한다.​​다음은 PSV설치관련 기본적인 내용으로서 설계시 참조해야 한다.​1. PSV는 보호하려는 설비 근처에 위치해야 하며 설비 nozzle에 직접 설치하는 것을 권장하지만, case by case로서 vapor outlet line상에 설치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2. 같은 논리로 vapor application의 PSV는 액체가 아닌 vapor space상에 설치하되 HHLL보다 높은 top head에..

안전설계 2025.03.30

위험 관리 방법인 예방과 완화 기준 이해

예방은 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며, 완화는 이미 일어난 사고에 대해 그 영향을 줄이기 위한 방법이다. ​​예방적 안전장치로는 alarm response, SIS 등이 있으며, 반면 완화적 안전장치로는 secondary containment (dike, spillwall), 소화설비, 비상 대응조치, sprinkler system, 비상발전시스템 등이 있다. ​​예방적 조치와 완화적 조치의 기준은 design 대비 process parameter의 허용치 전과 후의 safeguard이다. 예를 들어 압력이 증가하지 않도록 BPCS나 SIS를 통해 예방을 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동을 하지 않을 경우 design 조건을 초과할 수 있어서 이 때는 더이상 예방이 아니라 완화를 위해 PSV가 작동을..

안전설계 2025.03.29

적산 전력계 (integrating wattmeter) (전력량계) 이해

우리가 가정에서 한 달 동안 사용한 전기량은 전기 계량기라고 부르는 적산 전력계로 잰다. 이때 적산 전력계로 잰, 어느 기간 동안에 사용한 전기 에너지의 총량을 전력량이라고 하는데, 전력량은 전력과 시간의 곱으로 나타낸다. 전력량의 단위는 와트시 (Wh) 또는 킬로와트시 (kWh)를 사용한다. 1 Wh는 1 W의 전력을 1 시간 동안 사용한 전력량이고 가정에 설치된 적산 전력계는 사용한 전력량을 kWh의 단위로 표시하게 되어 있다.​[적산 전력계의 구조]; 금성출판사 ​​적산전력계 설치 관련한 법규는 아래와 같다. 환경오염시설의 통합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 10]측정기기의 운영ㆍ관리 기준(제19조 관련) 1. 적산전력계의 운영ㆍ관리기준 가. 「계량에 관한 법률」 제14조에 따른 형식승인 및 같은..

전기계장설계 2025.03.28

Vacuum PSV water sealing 이해

진공으로 운전되는 스팀 터빈이나 후단 surface condenser 보호용으로 PSV가 설치되는데 이를 atmospheric relief valve라고 하며, 운전 특성상 진공으로 운전됨에 따라 항상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될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진공을 유지하기 위해 과도한 스팀이 요구되며 inert gas인 공기가 system내에 accumulation됨에 따라 장기적으로는 condenser 및 터빈의 성능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공정에 최적화한 PSV가 water sealed relief valve이며, HEI기준에 따라 10psig이상 초과되지 않도록 PSV가 작동을 하여 max capacity의 steam을 배출하며 (18"까지는 4psig에서 relief, 그 이상은 7p..

안전설계 2025.03.28

배관 파열에 의한 화재폭발 [KOSHA]

제목 : 배관 파열에 의한 화재폭발속보번호: CCPS-9702 날짜 : 1997년 03월 업종 : 원유정제업 기인물 : 정전기 재해유형 : 화재폭발 공정 : 수첨처리공정   1. 사고발생 개요  97. 3. 00 11:30분경 ○○○(주) 윤활기유 제조 수첨처리 공정에서 배관의 엘보우(Elbow)가 마모(Errosion)되어 두께가 얇아짐으로써 고압(195㎏/㎠g)에 견디지 못하고 파열됨으로서 관내부의 수소 및 탄화수소가 누출되면서 정전기에 의해 점화되어 화재가 발생함.   2. 사고발생 공정 가. 제조공정 사고발생 공정은 윤활기유 제조 공정중 고온, 고압의 수첨처리 공정으로서, 윤활기유중 고분자의 Aromatic성분을 고온·고압 촉매하에서 제거하거나 변형시키는 연속공정으로 윤활기유를 생산함.  나. 제..

사고사례 2025.03.27

정기보수중 질식사고 [KOSHA]

목 : 정기보수중 질식사고 속보번호: CCPS-9802 날짜 : 1998년 05월 업종 : 석유화학제품 제조업 기인물 : 드럼 재해유형 : 질식 피해정도 : 사망2명 공정 : 압력용기 내부검사   1. 사고발생 개요  98.5.○○ 14:20분경 ○○화학(주)의 연차보수 작업중, BG 1공장 Steam Drum (102-P) 내부검사를 위해 ○○화학(주) 직원 1명과 압력용기 검사 업체인 한국검정 직원 2명(오민균, 조광중)이 사전 산소농도 측정이나 환기조치 없이 질소로 Purge된 Drum에 입조하여 질식으로 사망한 재해임.   2. 사고발생설비 가. 공정설명 에틸렌을 산화반응시켜 산화에틸렌을 제조하는 공정으로서, 산화 반응열을 이용하여 Steam drum에서 약 13kg/㎠G의 수증기를 생산하고, 산..

사고사례 2025.03.27

중질유 분해공장 폭발사고 [KOSHA]

제목 : 중질유 분해공장 폭발사고 속보번호: 안전 제99-1호 날짜 : 1999년 05월 업종 : 화학제품 제조업 기인물 : 순환오일배관 재해유형 : 폭발 피해정도 : 화상4명 공정 : 중질유 분해    1. 사고개요  1999. 5. ○○ 14:08경 울산시 남구 소재 ○○(주) 중질유 분해공장의 순환오일 배관에서 고압오일이 분출되면서 대형폭발사고가 발생하여 4 명이 화상을 당하고, 약 1,000억원(추정)의 재산손실을 입음.   2. 사고공정 및 기인물  가. 사고 공정 o 사고공정 : 중질유 분해공장 - 중질유(Vacuum Gas Oil)을 수첨 분해반응(hydrocracking)시키어 고부가 가치를 갖는 디젤, 케로신, 납사 등의 경질유를 생산하는 공장임. · 중질유 처리능력 : 30,000바렐/..

사고사례 2025.03.27

크실렌 탱크위에서 시료채취 작업중 폭발 [KOSHA]

제목 : 크실렌 탱크위에서 시료채취 작업중 폭발 업종 : 석유화학 제품제조업 기인물 : 혼합크실렌 피해정도 : 사망 1명 재해유형 : 화재,폭발 날짜 : 1991년 01월    1. 재해발생경위  1991.1.4. 15:17분경 석유화학제품 제조업체의 크실렌 탱크에서 제품분석을 의뢰받은 재해자가 탱크의 상부(Roof)에 올라가 시료채취작업을 시작하였다. 잠시후 "펑" 소리와 함께 탱크상부가 날아가면서 화재가 발생하여 시료채취 작업자가 화상을 입고 추락하여 사망하였으며, 탱크상부는 내부압력에 의해 10m 정도 날아갔다.    2. 특성요인 물적요인(불안전상태)- 제전봉에 산화 피막이 형성- 탱크내부 크실렌의 폭발범위 형성  인적요인(불안전행동)- 급격한 행동으로 인하여 인체와 작업복에 정전기 발생- 제전복..

사고사례 2025.03.27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