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V는 적절한 시나리오 선정을 통한 relief load 계산 및 sizing을 수행후 적절한 type을 선택하는 것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이 설치이다. 잘못 설치할 경우 emergency상황에서 과압을 해소하지 못할 수가 있기 때문에 아래의 몇가지 사례를 통해 설계단계에서 설치위치 선정시 주의해야 한다.
다음은 PSV설치관련 기본적인 내용으로서 설계시 참조해야 한다.
1. PSV는 보호하려는 설비 근처에 위치해야 하며 설비 nozzle에 직접 설치하는 것을 권장하지만, case by case로서 vapor outlet line상에 설치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2. 같은 논리로 vapor application의 PSV는 액체가 아닌 vapor space상에 설치하되 HHLL보다 높은 top head에 설치한다.
3. dirty fluid를 handling하는 공정에서 demister가 vessel내부에 설치될 경우 PSV는 demister plugging을 감안하여 demister 아래에 연결한다.

4. PSV가 vapor outlet line상에 설치시 보호설비 nozzle로부터 PSV inlet nozzle까지 pressure drop은 PSV chattering을 피하기 위해 set pressure의 3% 이내가 되도록 line sizing 및 PSV위치를 결정해야 한다.

5. inlet line에서 liquid accumulation을 방지하도록 free draining으로 배관을 설치해야 한다. 이를 위해 P&ID상에 free draining의 note를 반영한다.

6. 운전중 maintenance나 inspection을 위해 spare PSV가 설치될 경우 운전중인 PSV전단의 차단밸브는 LO (혹은 CSO), spare PSV 전단 차단밸브는 LC (혹은 CSC)로 하되 PSV후단은 모두 LO (혹은 CSO)로 설치해야 한다.

7. 대기 vent하는 PSV의 경우 end point에 at safe location이라고 callout하고 discharge line의 lowest point에 weep hole을 표기한다.

8. outlet line의 Mach수는 0.7이하 (project마다 기준이 다를 수 있음)로 한다. 아울러 momentum Rho v2가 200,000Pa를 초과하게 되면 진동이 심할 수 있어서 속도를 줄이기 위해 sizing을 키워야 하며 piping support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9. PSV outline은 KO drum을 향해 slope을 유지해야 한다.
10. 특히 heavy HC의 경우 배출시 응축이 될 수 있어서 bypass valve는 연결되는 discharge line에 min 위치이면서 양방향 free draining으로 설치하여 액체가 accumulation되지 않도록 한다.

11. PSV후단의 laterial piping은 header에 연결시 수직방향이 아닌 45도 방향으로 설치하여 reaction force를 완화해야 한다.

12. 배관상에 설치시 upstream에 elbow가 있을 경우 적어도 6D이상 이격하여 PSV를 설치한다.

13. 배관상에 설치시 upstream에 control valve나 orifice가 있을 경우 적어도 10D이상 이격하여 PSV를 설치한다.

#PSV#installation#set#chattering#demister#vapor_space#free_draining#slope#LO#LC#weep_hole#CSO#CSC#Mach#reaction_force
'안전설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험 관리 방법인 예방과 완화 기준 이해 (0) | 2025.03.29 |
---|---|
Vacuum PSV water sealing 이해 (0) | 2025.03.28 |
Generally Accepted HAZOP Rules in the Process Industry (0) | 2025.03.25 |
SIL study - Risk Graph vs. LOPA vs. FTA 이해 (0) | 2025.03.23 |
Jet fire이해 (0) | 2025.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