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사례

탱크로리 하역작업 과정의 사고사례-KOSHA

proteccon 2025. 2. 16. 12:36
SMALL

tank lorry의 unloading이나 loading과정에서 발생빈도가 높은 사고 유형이 flexible hose 연결 및 유지관리로서 사고빈도가 높은 만큼 안전관리를 더욱 철저히 할 필요가 있다.

황산 하역작업 중 플렉시블 호스 파손

재해발생 개요

울산광역시 온산읍 소재 ○○㈜ 황산하역장에서 탱크로리의 황산을 플렉시블 호스를 통해 저장탱크로 이송하는 과정 중 탱크로리와 플렉시블 호스 연결부에서 소량의 황산이 비산되어 작업자 얼굴과 목 부위에 화상을 입은 사고임.

사고발생현장

재해발생 원인

- 플렉시블 호스 관리 미흡

- 플렉시블 호스 점검 및 교체기준이 없어 연결 캄록커플링이 호스와 분리되어 황산이 비산됨

- 적합한 보호구 미착용 - 위험물질(황산) 하역작업 등의 취급작업 시에 적합한 보호구를 착용하지 않음

 

재해예방 대책

- 플렉시블 호스 점검주기 마련 및 점검

* 플렉시블 호스는 작업부하, 작업환경, 운전조건을 고려하여 적절한 점검주기를 마련, 점검 사용

* 커플링이나 피팅류와 연결된 소스는 인접 300mm 부위를 특별히 주의하여 점검

* 호스를 완전히 펼친 상태에서 다음의 손상유무 점검하여 이상이 없을시 사용 ․ 외피의 갈라짐,

브레이드 부식, 호스 내부 침식, 비틀림

- 취급물질에 적합한 보호구 착용 - 위험물질 하역작업 등의 취급작업시에 적합한 보호구를 착용하고 작업

염소 탱크로리 하역작업 중 염소 누출

재해발생 개요

울산광역시 소재 ○○㈜ 울산공장 염소하역장에서 염소하역작업 중 질소퍼지를 위해 설치된 플랙시블 호스 일부가 파손되어 염소가스가 누출되어 근로자 3명 및 인근 근로자 25명이 호흡계통에 불편함을 느껴 병원진료를 받은 사고임.

 

사고발생현장

재해발생 원인

- 부적절한 호스 사용 - 염소에 부식 저항성이 없는 스테인레스 304를 사용 및 사용압력 보다 낮은 압력등급의 호스를 사용함

- 염소 외부 누출방지조치 미흡 - 급성 독성물질인 염소가 외부로 누출될 경우를 대비한 방재설비가 설치되어 있지 않음

- 염소 하역작업시 배관에 정체구간 발생 - 설계 당시와 상이하게 질소배관에 밸브가 설치되지 않아 염소 하역작업시 플랙시블 호스에 염소가 정체되어 부식 발생

- 변경관리 미흡 - 염소 플랙시블 호스 직경 변경사항이 발생하였으나 변경관리(공정안전자료, 위험성평가 등)를 실시하지 않음

재해예방 대책

- 물질 및 사용조건에 적합한 호스 사용 - 염소를 취급하는 플렉시블 호스는 염소에 내화학성이 있는 재질, 두께 등으로 설치 및 사용

- 염소 외부 누출방지조치 실시 - 급성 독성물질인 염소가 누출되었을 경우에는 외부 확산이 되지 않도록 유출방지 및 회수설비(워터커튼 등)를 설치

- 설계시와 동일하게 설비 설치 - 설계 당시와 동일하게 질소배관에 밸브를 설치하여 염소 하역작업시 플랙시블 호스에 염소가 정체되지 않도록 조치

- 변경관리 철저 - 안전에 중대한 변경요소가 발생할 경우에는 적합하게 변경관리를 실시하여 위험요인을 제거

 

 

#플렉시블호스#캄록커플링#급성독성물질#방재설비#변경관리#질소퍼지#부식#내화학성#워터커튼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