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LL

2025/02/16 8

활성탄 흡착시설의 설계기준

활성탄 흡착시설은 VOC 배출 억제에 많이 사용되는 시설로, 통상 400ppm 에서 2,000ppm의 VOC물질을 50ppm이하로 처리하여 내보낼 수 있다. 최근 개발된 흡착기술은 처리전의 VOC 농도가 20ppm부터 최저폭발한계 (LEL)의 1/4 농도까지 처리할 수 있도록 발전하였다. 이 범위 이하의 저농도 부분은 다른 처리기술이나 다른 흡착방법에 비해서 처리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비경제적이다. ​​VOC 농도가 흡착시설의 처리상한선을 초과하는 경우 소각시설이나 막분리 또는 응축시설을 사용하는 것이 더 경제적일 수 있다. 한편, 흡착시설은 VOC의 회수가 가능하며 재사용이 가능하거나 값비싼 VOC의 회수시 처리비용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 또한 흡착시설에서 VOC를 농축시킨 후 소각시설에서 소각하거나..

Jet fire이해

jet fire는 일정 방향으로 분출되는 고압 stream에 주변 점화원에 의해 착화된 고온의 flame이며, jet flame의 heat flux와 flame impingement로 인해 용기 외벽에 기계적 파손이 될 경우 대량의 인화성 물질이 유출되어 대규모 폭발로 이어질 수 있다. ​​flame inpingement에 노출된 fireproofing insulation은 spec상 규정된 시간동안 견딜 수 없고 단 몇 분내에 기능을 상실할 수 있다. ​​유체가 액체나 액화가스라면 spray fire라고도 하며 turbulent diffusion flame이다. jet fire는 가스 성분, release condition, release rate, release geometry, direction, ..

안전설계 2025.02.16

탱크로리 하역작업 과정의 사고사례-KOSHA

tank lorry의 unloading이나 loading과정에서 발생빈도가 높은 사고 유형이 flexible hose 연결 및 유지관리로서 사고빈도가 높은 만큼 안전관리를 더욱 철저히 할 필요가 있다.​​황산 하역작업 중 플렉시블 호스 파손​재해발생 개요울산광역시 온산읍 소재 ○○㈜ 황산하역장에서 탱크로리의 황산을 플렉시블 호스를 통해 저장탱크로 이송하는 과정 중 탱크로리와 플렉시블 호스 연결부에서 소량의 황산이 비산되어 작업자 얼굴과 목 부위에 화상을 입은 사고임.사고발생현장​재해발생 원인- 플렉시블 호스 관리 미흡 - 플렉시블 호스 점검 및 교체기준이 없어 연결 캄록커플링이 호스와 분리되어 황산이 비산됨 - 적합한 보호구 미착용 - 위험물질(황산) 하역작업 등의 취급작업 시에 적합한 보호구를 착용하지..

사고사례 2025.02.16

비가 몰고 오는 불청객 "비점오염" - 국가물관리위원회 자료

여름철 폭우에 의해 빗물에 휩쓸려 강으로 유입된 각종 물질은 수질 오염의 원인이 된다. 이런 오염 현상을 비점오염(非點汚染)이라고 부른다. 비점오염은 도시, 도로, 농지, 산지, 공사장 등 불특정 장소에서 불특정하게 발생하는 비점오염원(토사, 농약, 비료, 중금속 등)이 비가 올 때 빗물과 함께 쓸려 내려가 하천을 오염시키는 현상이다.​비점오염 발생지역 및 대표유형 (출처 : 물환경정보시스템)​비점오염원(non-point pollutant source, 非點汚染源)에 반대되는 개념인 점오염원(point pollutant source, 點汚染源)은 폐수배출시설, 하수 발생 시설, 축사처럼 관로 등을 통해 일정 지점으로 배출되는 오염원으로, 오염물질의 유출경로가 명확하여 수집이 쉽고 계절에 따른 영향이 상대..

환경관련 2025.02.16

배출 공정별 벤젠 저감기술 - 대기오염 방지 시설 (화학물질 안전원 자료)

공정관리​​처리기술​화학물질을 처리하는 방법은 크게 연소기술, 흡착기술, 흡수기술, 생물학적 처리기술로 구분할 수 있다. 연소처리기술에는 고온 산화법 (열소각법, Thermal Oxiadation; TO), 촉매 산화법 (촉매연소법, Catalytic Oxidation; CO), 축열식 열소각기술 (Regenerative Thermal Oxiadation; RTO), 축열식 촉매산화기술 (Regenerative Catalytic Oxidation; RCO), 무화염 열 산화법 (Flameless Thermal Oxidation; FTO), 흡탈착 촉매산화법 (Concentration Catalystic Oxidation; CCO) 등이 있다. VOC 처리기술별 VOC 농도와 유입 유량의 적용 범위생물학적..

환경관련 2025.02.16

Pipe Schedule vs. Tube Gauge

tube와 pipe는 OD, wall thickness로 구분될 수 있지만 이들 tube와 pipe간에는 적용되는 기준이 다르며 그 사용 용도도 다르다. tube 혹은 tubing은 주로 열전달에 사용되거나 size가 작은 배관 대용으로 사용하거나 instrument lead로서 사용되며, pipe는 주로 유체 이송용으로 사용된다.​​nominal pipe size (NPS)는 pipe의 공칭 OD로서 일반적으로 실제 OD와 차이가 나지만 (14"이상부터는 동일), tube size는 실제값 OD로 주어진다. 그래서 NPS 0.5" pipe는 OD가 0.84"이며, tube는 OD가 0.5"이다. sch 40 pipe의 경우 6" pipe는 6" ID와 6 5/8" OD를 갖는다. 반면 sch80 6" ..

배관설계 2025.02.16

반응기에 과투입된 인화성액체 회수작업 중 화재-KOSHA

안전불감증에 의한 인재사고로서 중소규모 사업장에서 배치 운전을 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사고 유형으로, 인화성 물질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맨홀을 개방하면 공기와의 혼합으로 폭발성 분위기가 형성될 수 있는 바, 안전관리 및 작업절차 개선, 운전원 교육이 필요하다.  재해발생 개요충남 공주시 소재 ○○㈜ 수지제조공장 2층 반응기에서 맨홀을 열고 금속제 용기로 과투입된 원료 (MMA)를 회수하는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반응기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작업자 1명이 얼굴과 목 부위에 화상을 입은 사고임.   재해발생 원인- 작업방법 부적절 - 과투입된 인화성액체 회수를 맨홀을 열고 회수하는 등 폭발위험분위기가 조성된 상태에서 작업 실시함.  - 점화원 관리 미실시 - 작업도구(금속제 용기, 철사), 인체 대전 등..

사고사례 2025.02.16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유지 및 관리-환경부 자료

아래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유지관리 관련 사례들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사례를 통해 안전관리를 더욱 철저히 하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1) 화학물질 취급현장 주변에 즉시 사용 가능한 긴급세척시설을 설치하고, 수시로 점검하도록 하며, 접근통로에 장애물이 없도록 해야 한다.​​2) 유해화학물질의 외부유출 방지를 위해 설치된 방류벽, 트렌치 등 집수시설에 물이 고여 있을 경우, 유출된 유해화학물질과 반응하여 (물반응성) 2차 사고 및 피해가 발생할 수 있음. ​​3) 인화성, 산화성, 자연발화성 유해화학물질 취급시 정전기나 스파크가 점화원이 되어 유해화학물질이 폭발할 수 있으므로 정전기를 유효하게 제거하기 위해 접지해야 함.​​4) 유해화학물질 비산 확산을 방지하는 비산방지 쉴드를 설치하여 추가적인..

사고사례 2025.02.1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