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LL

2024/12/17 5

Piping design spec (reference자료)

하기의 piping design spec은 외국의 특정 end user의 spec으로서, reference로서 참조할 수 있으며, 설계 기준이나 이론적 배경은 다른 spec에도 대동소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내용을 이해할 필요가 있어서 공유한다.​​이를 기준으로 PMS (piping material spec)을 작성하고, piping class는 C15A와 같이 4개의 숫자나 문자로 구성되며 package unit에도 적용된다.​​첫번째 캐릭터는 재질을 의미한다.​​두번째 캐릭터는 플랜지 등급을 의미한다. ​​세번째 캐릭터는 부식허용 여유를 의미한다. ​네번째 캐릭터는 위의 piping class에서도 구분할 필요가 있을 때 적용한다. (예를 들어, C15A / C15B)​​code and standa..

배관설계 2024.12.17

Barrier management (HSE) 이해

공정 위험성 평가를 수행시 risk를 낮추기 위해 safeguard 혹은 IPL을 기존 도면에서 확인하거나 사업장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면 recommendation을 통해 새로운 safeguard나 IPL를 추가해야 한다. 공정 위험성 평가는 이 단계로 끝나지만 실제로 완벽한 마무리를 하려면 follow-up이 중요하다. 즉, 실제로 safeguard나 IPL로 고려된 계기나 장치, 혹은 절차서들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 항상 management해야 한다. 이러한 방법이 구체화되고 예측가능해야 비로서 위험상황이 발생할 때 failure없이 제기능을 발휘하여 event로 전개되는 시나리오를 방지할 수 있다.   Barrier management 혹은 장벽관리란 bowtie analysis에서 공정에 대해 ..

LAB (Linear Alkyl Benzene) 이해

합성세제 원료, 농약 유화제, 잉크용제, 안료 합성용제에 사용되는 LAB는 Pacol process를 통해 만들어진 Linear Olefin에 solid, heterogeneous catalyst를 이용하여 벤젠을 alkylation한 product이다.​LAB​​Process description먼저 linear paraffin이 Pacol reactor (1)로 들어가 corresponding linear olefin으로 de-hydrogenating한다. 이후 reactor effluent는 separator (2)에서 기체와 액체로 분리가 되고, 분리된 액체내의 diolefin이 DeFine reactor (3)에서 선택적으로 mono-olefin으로 전환이 된다.UOP Process light ..

공정설계 2024.12.17

유해 화학물질 제조·사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고시

유해화학물질 제조·사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고시[시행 2024. 9. 30.] [화학물질안전원고시 제2024-36호, 2024. 9. 30., 일부개정]​​​ 제1장 총칙 제1조(목적) 이 고시는 「화학물질관리법 시행규칙」(이하 "규칙"이라 한다) 별표 5 제6호에 따라 위임된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설치 및 관리에 필요한 세부사항 중 제조ㆍ사용시설에 관한 기술기준 및 세부기준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용어정의) 이 고시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여기에서 규정하지 아니한 용어의 뜻은 규칙 본문 및 규칙 별표 3에 따른다. 1. "제조ㆍ사용시설"이란 판매할 목적으로 유해화학물질을 제조하는 시설과 제품의 제조, 제품의 세척(洗滌)ㆍ도장(塗裝) 등을 목적으로 유해화학물질을 사..

누액 감지기 이해

센서 혹은 감지기라고 하는 장비는 직접 피측정 대상에 접촉하거나 혹은 근접하여 데이터를 알아내어 필요한 정보(情報)를 신호로 전달하는 장치이다. 사람의 감각으로는 측정할 수 없는 수치(數値)도 가능하여 위험이 따르는 작업 기계에도 많이 부착하고 있다. 실생활에서 사용되는 센서로는 냉난방을 위한 온도 센서 및 방범용 센서 등이 있다.​​센서기술은 거의 모든 산업의 자동화, 인공지능화를 위한 핵심 부품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센서 산업은 미래형 성장산업으로 고기능화, 고성능화의 핵심 요소로서 복합 기술적이며 고부가가치 원천 기술로서 산업계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다양한 분야에서 핵심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센서 기술 중에서도 각종 산업시설 등에서 사용되는 액체감지 센서는 유해화학물질의 누출을 예방 및 완화..

전기계장설계 2024.12.17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