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LL

2024/12/18 7

HAZOP 준비 및 절차

플랜트를 신설, 변경하는 경우나 solvent 등 물질의 종류를 변경하는 경우, 취급물질의 특성 (독성, 인화성, 금수성)이나 반응 위험성을 조사하고, 관계 적용 법규나 설계기준에 맞추어 목적하는 플랜트를 설계하는 일은 가능하지만, 프로세스의 안전을 완전하게 보증하는 것은 어렵다. ​​​화학공장을 운전하다보면 프로세스 일부가 설계 및 운전의 의도대로 운전되지 않고 이탈을 일으켜 큰 영향을 미치는 위험성이 잠재되어 있을 경우가 있다. 위험성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설비의 이상이나 운전 조건의 변화 등에 의해 예기치 않았던 이상적인 운전상황이 발생한 경우를 대비, 잠재되어 있는 위험성을 명확히 하고 체계적으로 필요한 안전성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HAZOP study에서 자주 사용되는 용어들은 de..

Magnetic filter 이해

유체내 iron, steel등 금속 입자들을 제거하는데 적합한 device가 magnetic filter이다. filter medium이 자석임에 따라 유지관리시 element를 교체할 필요가 없고, cartridge나 paper filter등 산업 폐기물 발생이 없어서 환경적으로 적합한 type이며, housing내에서 강력한 자기장을 만들어 chip이나 sludge들을 capturing한다. ​​이 필터는 기존 배관에 설치 가능하며 추가적인 power를 요구하지 않고 설치하거나 운전하는데 많은 시간이 필요없다.​​​magnetic filter는 액체나 slurry상태의 유체로부터 iron particle을 제거하는데 적합한 필터로서 high-intensity filter magnet에 의해 형성된 자..

기계장치설계 2024.12.18

T8/5 method for PWHT

T8/5는 weld seam이나 HAZ (Heat Affected Zone)에서 800도로부터 500도로 냉각하기 위해 걸리는 시간으로 정의된다. 이 시간은 steel내의 조직변화가 일어나는 가장 중요한 시기이다.​​만약 냉각시간이 너무 짧으면 steel의 기계적 물성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고, 반면 너무 길게 되면 hardness가 줄어들게 된다.​​welding동안 high peak temperature를 피하기 위해 power source를 control한다. 그래서 완벽한 용접결과를 얻기 위해 적절한 preheating시간과 cooling 시간을 결정해야 한다.​​다양한 목적에 사용되는 steel은 grade에 따라 strength, ductility, hardness, toughness, c..

배관설계 2024.12.18

보온재내에서 자연발화로 인한 화재 [KOSHA]

제목 : 보온재내에서 자연발화로 인한 화재 업종 : 화학제품 제조 기인물 : 히팅오일 피해정도 : 반응기 부속설비 파손 재해유형 : 화재 날짜 : 1991년 03월 ​​​​1. 재해개요 ​'91. 3. 4 21:40분경에 ○○공장의 CTA(원료 : 테레프탈산) 공정의 산화 반응탑 주위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관련 부속배관 및 설비가 파손되면서 약 30분간 화재가 발생된 재해임.​​​​2. 재해발생내용 ​가. 재해정도1) 인적피해 : 없음2) 재산피해 : 부속설비 파손, 운전가동 중지​​나. 재해발생 설비​1) 분전상태가) 원료공급배관 ​나) 열매체 배관​2) 배관설비사양원료공급배관(PIPE)- 크기(SIZE) : 3" Sch. 4OS- 재질(MAT’L) : TITANIUM​​3) 물성가) 공급원료 ​나) 열..

사고사례 2024.12.18

가성소다 누출사고 [KOSHA]

제목 : 가성소다 누출사고 속보번호: CCPS-9808 날짜 : 1998년 10월 업종 : 석유화학제품 제조업 기인물 : 가성소다(NaOH) 재해유형 : 누출 ​​​1. 사고개요​1998. 10. 3일 17:40경 여천공단의 ○○화학(주)의 전해공장에서 생산된 가성 소다(50%)를 해상 출하시설로 이송하는 배관에서 균열이 발생하여, 약 23시간동안 650ℓ정도의 누출이 발생하였음. 누출이 발견되자 사업장에서는 즉시 이송펌프를 정지시키고, 배관의 차단밸브를 차단시킨 후 누출부위를 굴착하여, 10% 산으로 중화시킨 뒤 물로 희석하여 큰 인적, 물적 피해는 없었음.​​​2. 사고설비의 개요 ​가. 사고설비의 공정1978년에 가동을 시작한 이 공장은 정제된 소금물을 전기분해하여 염소와 가성소다를 생산하는 공장으..

사고사례 2024.12.18

RT (Refrigeration Ton) 이해

RT는 주로 북미에서 사용되는 US cooling capacity의 power 단위로서 냉동톤이라고 하며 이는 air conditioning equipment와 냉동시스템의 heat extraction capacity를 나타내는 용어이다.​1RT는 24시간 동안 0degC에서 얼음이나 물의 1 short ton (2,000lb or 907kg)의 melting이나 freezing을 야기하는 열량으로 정의된다. ​​RT는 주로 냉동기계의 cooling capacity에 대해 사용하는 단위로서 냉동시스템에서 만들어내는 냉동 (냉각)의 열량을 의미하며, 0도에서 물이나 얼음의 상변화시에 요구되는 에너지에 해당된다. 국제단위가 SI metric 체계로 변경되어 kW를 사용하고 있지만 관행적으로 아직 일부 국가의..

공정설계 2024.12.18

CUI (Corrosion Under Insulation) 이해

CUI는 단열된 배관이나 용기의 표면에서 수분 존재하에 산화가 일어나는 것으로 단열재가 그 아래에서 수분을 trapping하여 금속으로 하여금 지속적으로 물속의 산소와 contact하도록 하여 부식률이 증가하므로서 심각한 부식을 야기하게 된다.​​​CUI (Corrosion Under Insulation)는 대기중 수분이나 습도 그리고 안개에 민감한 압력용기나 저장탱크 그리고 보일러나 배관에서 직면하는 주요 issue이다. 부식에 의한 leak로 인해 loss되는 손실 비용, 그리고 repair를 위한 maintenance비용 및 leak에 따른 환경문제나 안전문제도 뒤따를 수 있다.​​CUI는 단열처리된 배관이나 탱크, 압력용기 등의 외부표면에 수분이 build-up되어 나타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s..

안전설계 2024.12.18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