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LL

분류 전체보기 203

크실렌 탱크위에서 시료채취 작업중 폭발 [KOSHA]

제목 : 크실렌 탱크위에서 시료채취 작업중 폭발 업종 : 석유화학 제품제조업 기인물 : 혼합크실렌 피해정도 : 사망 1명 재해유형 : 화재,폭발 날짜 : 1991년 01월    1. 재해발생경위  1991.1.4. 15:17분경 석유화학제품 제조업체의 크실렌 탱크에서 제품분석을 의뢰받은 재해자가 탱크의 상부(Roof)에 올라가 시료채취작업을 시작하였다. 잠시후 "펑" 소리와 함께 탱크상부가 날아가면서 화재가 발생하여 시료채취 작업자가 화상을 입고 추락하여 사망하였으며, 탱크상부는 내부압력에 의해 10m 정도 날아갔다.    2. 특성요인 물적요인(불안전상태)- 제전봉에 산화 피막이 형성- 탱크내부 크실렌의 폭발범위 형성  인적요인(불안전행동)- 급격한 행동으로 인하여 인체와 작업복에 정전기 발생- 제전복..

사고사례 2025.03.27

Generally Accepted HAZOP Rules in the Process Industry

HAZOP 스터디는 process industry에서 위험인지를 위해 폭넓게 사용되어지는 기법으로서 이를 수행하기 위한 절차는 routine하지만, HAZOP에 대한 이해도나 수행시 잘못 접근하는 사례도 많아 이에 대해 아래와 같이 다양한 case에 대해 살펴보았다.​​시나리오에 대한 cause, consequence 그리고 safeguard를 identifying하는데 chairman을 포함한 모든 참석자들의 이해도가 제각각 다를 경우, 위험성 평가의 취지가 훼손되거나 방향성마저 왜곡될 수 있어서 여러 상황들에 대한 고민을 통해 공정내 위험을 최소화하도록 해야 한다. ​​오늘날 사용되고 있는 HAZOP 스터디 방법은 40여년전 영국의 ICI (Imperial Chemical Industries)에 의해..

안전설계 2025.03.25

SIL study - Risk Graph vs. LOPA vs. FTA 이해

개별 SIF에 대해 어떻게 SIL등급을 부여하는지 그리고 이를 위해 적용가능한 방법들인 Risk Graph, Layer of Protection Analysis (LOPA), Fault Tree Analysis (FTA)에 대한 비교를 통해 위험에 대한 관리측면에서 아래와 같이 간략히 정리하였다.​​SIL study란 SIF에 대해 SIL requirement가 필요한지를 결정하기 위한 중요한 위험성 평가의 방법이다.이 과정에서 원하지 않는 사고가 일어날 가능성과 그로 인한 영향을 평가하고,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protective measure를 통해 달성할 수 있는 위험 감소 여부를 계산하고 이후 잔여 위험 정도를 인지한다. 이 잔여 위험 정도가 허용할 수 없는 수준이라면 허용 가능한 수준과의 차이를..

안전설계 2025.03.23

합성반응기 폭주반응에 의한 화재・폭발-KOSHA

사고개요2019년 00월 00일 00시 소재 ㈜000에서 소디움알콕사이드* 합성중 화재・폭발이 발생하여 반응기 주변에 있던 근로자 3명이 사망하고, 1명이 부상을 입은 사고임. * 소디움알콕사이드: 고분자 합성반응 촉매의 일종으로 고체 나트륨과 알코올을 반응시켜 제조함. 대표사진 삭제사고 발생 건물 및 반응기 사고발생 현황㈜000는 OLED 원료를 생산하는 사업장으로 제조동 2동, 사무동, 연구동으로 구성 되어 있음.  가. 시설현황합성반응(파일럿) 설비 현황사고 발생당시 ㈜OOO는 OOOO(주)의 의뢰를 받아 OOOO(주) 연구원 2명과 함께 소디움알콕사이드를 합성하였음. 사고 발생 설비는 소디움알콕사이드 제조 전용 설비가 아니며, 파일럿 시설임.대표사진 삭제소디움알콕사이드 합성 파일럿 공정도  반응식..

사고사례 2025.03.22

ABS/SAN process 이해

ABS/SAN PLANT는 Acrylonitrile (AN), Butadiene (BD), Styrene의 공중합체로서 제품의 용도와 처방에 따라 다양한 Grade의 ABS/SAN Resin을 생산할 수 있다. 주요 용도가 전자 제품 및 자동차의 주요 부품으로 사용되고 있어 이의 용도도 계속 증가하고 있다.   ABS 수지는 폴리스타이렌과 HIPS (High Impact Poly-Styrene)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만들어지는 방법에 따라 2종류로 나뉜다. Type A는 Acrylonitrile-Styrene 공중합체 수지와 Acrylonitrile-Butadiene 탄성중합체를 블렌드(Blend)하여 만들어지며, Type B 는 Styrene-Acrylonitrile 고분자에서 Polyb..

공정설계 2025.03.22

이차전지 소재 공장의 수소 폭발 사고-KOSHA

이차전지 소재 관련 공장에서 작업 중 발생한 수소 폭발 사고가 일어나 두 명의 근로자가 화상을 입었다. 차세대 먹거리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는 이차전지 산업 생태계의 안전 문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사고개요망간을 투입하던 중 옆의 용해조에서 폭발이 일어났다. 2019년 7월, 충북의 첨단산업단지내 이차전지의 양극재용 전구체를 생산하는 A 기업에서 사고 피해자는 전구체 반응에 필요한 원재료를 용해하는 공정에서 작업중이었다.  용해 공정은 니켈(Ni)과 망간 (Mn)과 코발트(Co) 용해 공정으로 나뉘는데, 그날은 망간 용해 공정에서 작업을 시작할 차례였다. 망간 용해 공정에는 2개의 망간 용해조가 있었다. 작업자는 안쪽에 있는 1번 용해조에 크레인을 이용해서 망간 2t을 넣은 후, 연수 펌프의 조작 스위치..

사고사례 2025.03.22

EVA (Ethylene Vinyl Acetate) process 이해

​EVA수지는 제조방법에 따라 고압중합, 용액중합, 에멀젼중합으로 나누며, 고압중합으로 생산된 EVA수지는 고체상태의 pellet형상이며 VAM의 최대함량은 40%정도이다.​​반면 용액중합이나 에멀젼중합으로 생산된 EVA수지는 VAM함량이 50~100%이며 주로 접착제의 원료로 사용된다.​​EVA의 물리적 특성은 MI (Melt Index)와 VAM함량에 좌우되며 극성기를 갖고 있는 VAM의 도입으로 VAM함량이 증가할수록 내약품성이 저하된다. 아울러 VAM함량이 증가할수록 흡습성이 증가하며 에틸렌 대비 부피가 큰 VAM으로 인한 결정화도 감소로 가스차단성이 떨어진다.​​ ​​Ethylene과 Vinyl Acetate(VA)의 공중합체이다. VA 함량에 따라 밀도가 증가하고 유연성이 증가하며, 탄성력과 ..

공정설계 2025.03.19

가열된 아스팔트에 등유를 투입하여 교반중 폭발-KOSHA

재해발생 개요충북 음성군 삼성면 소재 유제 아스팔트를 생산하는 업체에서 아스팔트 프라이머를 제조하기 위해 180도의 hot asphalt를 교반기에 넣고 제품 유동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등유를 투입후 교반과정에서 화재 폭발이 발생하여 전신에 화상을 입은 사고임.​비방폭 구조의 교반기 스위치​​재해발생 원인* 폭발 화재 방지를 위한 방호조치 없이 인화성 액체를 가열 증발하는 작업실시사고 당일 입고된 hot asphalt 온도는 180도로서 여기에 인화점이 37도인 등유를 넣고 교반하는 것은 등유를 가열 증발시키는 행위로서, 인화성 증기에 의한 화재 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방호조치 없이 교반작업을 실시​* 폭발위험이 있는 장소에 대해 폭발위험장소 미설정 및 관리교반기가 위치하는 장소는 150~160도 (사고 당..

사고사례 2025.03.13

deadman valve 이해

deadman valve는 handle 내부에 spring이 설치되어 있어서 운전원이 handle을 release하면 safe position으로 되어, 자동적으로 열리거나 닫히는 구조의 밸브로서 spring return handle valve라고도 한다. 즉, 흐름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운전원이 handle을 holding하고 있어야 한다.​​이러한 밸브 configuration에 따라 self closing valve라고도 하며, plant safety를 높이고 product leak, spill, loss를 방지하고 tank overfilling도 줄일 수 있다. ​​​​주로 ball valve에 spring return handle (deadman handle)이 설치되며 butterfly valv..

배관설계 2025.03.13

삼불화질소(NF3) 이송 펌프 교체 운전 중 폭발-KOSHA

재해발생 개요울산시 남구 소재 ㈜OOOOO 삼불화질소(NF3) 제조 공정의 최종 정제탑 하부 펌프(B)의 교체 운전을 위해 예비 펌프(A)를 가동하는 순간 펌프가 폭발하여 인근의 근로자 7명이 부상을 입은 사고임. 사고발생 공정  재해발생 원인펌프 기동시 공정 시스템 미흡 - (펌프 A의 비정상적인 공회전) 펌프 A의 토출 및 흡입측 밸브가 완전히 열려 있는 상태에서 펌프 B에서 토출된 NF3가 급속히 펌프 A로 유입되면서 임펠러(Impeller)가 역회전하면서 맥동현상(surging)과 공동현상(cavitation)이 발생하면서 펌프의 과부하 및 NF3의 기화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됨. - (NF3 기체 열분해) 수차례 기동 실패로 펌프가 과열된 상태에서 펌프 기동을 위하여 토출측 자동유량조절밸브를 수동..

사고사례 2025.03.07
728x90